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츠에겐 가나자와

덤프버전 :

파일:J3리그 엠블럼 가로형(2023~).svg
2024 시즌 참가 클럽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25%> [[츠에겐 가나자와|[[파일:츠에겐 가나자와 로고.svg|height=50]]]][br]
[[츠에겐 가나자와|{{{#eccc2b,#d3b312 '''가나자와'''}}}]]
||<width=25%> [[기라반츠 기타큐슈|[[파일:기라반츠 기타큐슈 로고.svg|height=50]]]][br]
[[기라반츠 기타큐슈|{{{#ffffff '''기타큐슈'''}}}]]
||<width=25%> [[FC 기후|[[파일:FC 기후 로고.svg|height=50]]]][br]
[[FC 기후|{{{#ffffff '''기후'''}}}]]
||<height=80><width=25%> [[AC 나가노 파르세이로|[[파일:AC 나가노 파르세이루 로고.svg|height=50]]]][br]
[[AC 나가노 파르세이루|{{{#000080,#7f7fff '''나가노'''}}}]]
|| ||<height=80><width=25%> [[나라 클럽|[[파일:나라 클럽 로고.svg|height=50]]]][br]
[[나라 클럽|{{{#fff '''나라'''}}}]]
|| [[아술 클라로 누마즈|[[파일:아술 클라로 누마즈 로고.svg|height=50]]]][br]
[[아술 클라로 누마즈|{{{#ffffff '''누마즈'''}}}]]
|| [[카탈레 도야마|[[파일:카탈레 도야마 로고.svg|height=50]]]][br]
[[카탈레 도야마|{{{#da1f49,#e0244f '''도야마'''}}}]]
||<height=80><width=25%> [[가이나레 돗토리|[[파일:가이나레 돗토리 로고.svg|height=50]]]][br]
[[가이나레 돗토리|{{{#000080,#7f7fff '''돗토리'''}}}]]
|| ||<width=25%> [[FC 류큐|[[파일:FC 류큐 로고.svg|height=50]]]][br]
[[FC 류큐|{{{#ffffff '''류큐'''}}}]]
||<width=25%> [[테게바자로 미야자키|[[파일:테게바하로 미야자키 로고.svg|height=50]]]][br]
[[테게바자로 미야자키|{{{#FFFFFF,#191919 '''미야자키'''}}}]]
||<width=25%> [[마쓰모토 야마가 FC|[[파일:마쓰모토 야마가 FC 로고.svg|height=50]]]][br]
[[마쓰모토 야마가 FC|{{{#a5955c,#a39359 '''마쓰모토'''}}}]]
||<height=80><width=25%> [[SC 사가미하라|[[파일:SC 사가미하라 로고.svg|height=50]]]][br]
[[SC 사가미하라|{{{#000000,#e5e5e5 '''사가미하라'''}}}]]
|| || [[카마타마레 사누키|[[파일:카마타마레 사누키 로고.svg|height=50]]]][br]
[[카마타마레 사누키|{{{#d5b200,#ffdb29 '''사누키'''}}}]]
||<height=80><width=25%> [[오미야 아르디자|[[파일:오미야 아르디자 로고.svg|height=50]]]][br]
[[오미야 아르디자|{{{#003d73,#8cc8fe '''오미야'''}}}]]
||<width=25%> [[FC 오사카|[[파일:FC 오사카 로고.svg|height=50]]]][br]
[[FC 오사카|{{{#ffffff '''FC 오사카'''}}}]]
||<width=25%> [[YSCC 요코하마|[[파일:YSCC 요코하마 로고.svg|height=50]]]][br]
[[YSCC 요코하마|{{{#ffffff '''Y요코하마'''}}}]]
|| ||<width=25%> [[FC 이마바리|[[파일:FC 이마바리 로고.svg|height=50]]]][br]
[[FC 이마바리|{{{#ffff00,#feff00 '''이마바리'''}}}]]
||<height=80> [[이와테 그루야 모리오카|[[파일:이와테 그루야 모리오카 로고.svg|height=50]]]][br]
[[이와테 그루야 모리오카|{{{#ffffff '''이와테'''}}}]]
||<height=80> [[반라우레 하치노헤|[[파일:반라우레 하치노헤 로고.svg|height=50]]]][br]
[[반라우레 하치노헤|{{{#ffd700,#ffd700 '''하치노헤'''}}}]]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FC|[[파일:후쿠시마 유나이티드 FC 엠블럼.svg|height=50]]]][br]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FC|{{{#000000,#e5e5e5 '''후쿠시마'''}}}]]
|| ||<-2><bgcolor=#007f41> [[틀:J2리그|{{{#ffffff ◀ [[파일:J2리그 로고(가로형).svg|height=30]]}}}]] ||<-2><bgcolor=#0175c2> [[틀:일본 풋볼 리그|{{{#ffffff [[파일:일본 풋볼 리그 심볼.svg|height=30]] ▶}}}]] ||



파일:츠에겐 가나자와 로고.svg
츠에겐 가나자와
Zweigen Kanazawa
정식 명칭ツエーゲン金沢
라이센스J1(조건부)
창단1956년
구단 형태시민구단
소속 리그파일:J3리그 엠블럼 가로형(2023~).svg
연고지이시카와가나자와시 등 5개구역을 중심으로한 전현
홈구장이시카와현 서부 녹지 공원 육상 경기장, 20,261명 수용
고고카레 스타디움, 10,000명 수용(예정)
회장요네자와 히로시 (米沢寛)
감독야나기시타 마사아키 (柳下正明)
키트 스폰서험멜
역대 한국인 선수정우재 (2011~2012)
차영환 (2015)
박준서 (2023~ / 임대)
공식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라인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1. 소개
2. 역사
2.1. J리그 이전
2.2. J리그
3. 유니폼
4. 우승 경력
5. 선수단
6. 여담
7. 한국 선수



1. 소개[편집]


팀 이름에선 이시카와현의 도청 소재지 가나자와시만 언급되지만 이시카와의 전현을 연고지로 삼는 J3리그의 팀이다.

츠에겐(Zweigen)이라는 명칭은 2를 뜻하는 독일어 쯔바이(Zwei)와 진행을 뜻하는 독일어 겐(gehen)의 합성어로 팀과 서포터가 함께 나아감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렇게 어원은 독일어임에도 발음은 전혀 독일식이 아니다. 가나자와 방언으로 '강해!'의 발음이 '츠에겐'인데 이에 맞추려고 이례적인 선택을 한 듯하다.[1]

츠에겐 가나자와 영구결번
No.12 서포터
서포터는 12 Twelve와 일본식으로는 발음이 똑같은 ZWELVE 츠엘브를 이름으로 삼고 있다.

파일:mascot.png
마스코트는 '겐조(ゲンゾー)'. 이시카와현의 새 독수리를 모티브로 만든 마스코트다. 이름은 현의 방언인 つえげんぞ(강한거다)에서 유래.

파일:YASAGARASU.jpg
빌런 포지션의 '야사가라스(ヤサガラス)'라는 마스코트도 있다. 한 때 츠에겐을 사랑하는 마음이 있었으나 악의 조직이 악한 마음을 심은 나머지 츠에겐을 방해해서 이시카와 현민들에게 절망을 안겨주려 한다. 홈 경기 전후반 시작 전에 하는 <야사가라스 극장>이라는 단막극에 겐조와 겐조의 여자친구 낭시[2]와 함께 등장한다.

파일:kanazawa_lsize.jpg
겐조가 서포터의 응원을 받고서 배틀 모드로 변신하는 '겐조이어(ゲンゾイヤー)'도 있다. 대개는 야사가라스 극장 후반전편에 등장해 야사가라스를 무찌른다.

2. 역사[편집]



2.1. J리그 이전[편집]


1956년 창설된 '가나자와 축구 클럽'을 전신으로 한다.
1990년에 전국 사회인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했고, 1992년부터 천황배에 참가하기 시작한다.
2002년 전국 지역 축구리그 결승대회에 참가하지만 1라운드에서 탈락한다. 2004년 기타 노부코 1부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한다.
2006년 드디어 현재의 명칭인 츠에겐 가나자와라는 이름을 갖게된다.
2009년 FC 카리야와의 승강 결정전에서 승리하며 2010년부터 JFL에 참가하게 된다.
2013년 2월 J리그 준가맹이 승인되고 천황배에서 2부리그팀인 요코하마 FC를 꺾는 이변을 보여줬다. 그해 11월 J리그 가입이 인정되고 2014년부터 J3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2.2. J리그[편집]


2014시즌 J3리그 첫시즌에 참여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J2리그 승격에 성공했다. J3리그 출범 초대 우승팀이 되었다.
J2리그 첫시즌인 2015년 12위를 차지하며 나쁘지 않은 성적을 보여줬지만,
2016년 21위까지 추락하게 된다. J3리그의 2위팀 도치기 SC와 승강결정전을 펼치는데 2경기 모두 승리를 거두면서 잔류를 할 수 있었다.
2017시즌에는 강등위기는 겪지 않았지만 17위라는 아쉬운 성적을 거뒀다.
2018시즌은 13위로 마감했고,
2019시즌도 잦은 무승부로 인해 11위로 딱 중위권에 머물렀다.
2020시즌은 초반에는 나름대로 순항하고 있었지만 가을에 접어들면서 패를 거듭하여 작년 시즌보다 한참 낮은 18위를 기록했다.
2021시즌도 17위를 하여 강등 위기에서 가까스로 벗어나는데 그쳤다.
2022시즌은 14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2023 시즌에 22위(최하위)를 기록하며 강등이 확정되어, 신구장이 열리는 2024시즌은 10년만에 J3리그에서 시작한다.

3. 유니폼[편집]


2017시즌부터 아디다스 재팬의 지원을 받기 시작했다.

파일:mainImage.png
2018유니폼. 팀의 상징색은 붉은색, 검정색, 황색이다. 왼쪽부터 GK 홈, 홈, 원정, GK 원정 킷.
파일:zwegen191.png파일:zweigen192.jpg
2019 시즌 홈 유니폼2019 시즌 원정 유니폼

파일:zweigen2021uniform_kv.jpg
2021 시즌부터는 K리그와는 달리 J리그에서는 보기 드문 키트 스폰서인 험멜 유니폼을 입는다.


4. 우승 경력[편집]


  • J3리그: 1회 (2014)
  • 키타 노부코 풋볼 리그 1부: 1회 (2004)
  • 이시카와현 축구 선수권 대회 (겸 천황배 이시카와현 예선) : 8회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5. 선수단[편집]


츠에겐 가나자와 2021 시즌 선수 명단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일문/로마자 성명생년월일체격
1파일:일본 국기.svgGK고토 마사유키後藤雅明1994.05.24190cm / 83kg
3파일:일본 국기.svgDF사쿠다 유지作田裕次1987.12.04183cm / 79kg
4파일:일본 국기.svgDF이시오 료가石尾崚雅2000.05.18183cm / 77kg
5파일:일본 국기.svgDF마츠다 리쿠松田陸1999.05.03175cm / 60kg
6파일:일본 국기.svgMF오하시 히사시大橋尚志1996.12.01183cm / 73kg
7파일:일본 국기.svgMF시마다 신타로嶋田慎太郎1995.12.05165cm / 60kg
8파일:일본 국기.svgMF후지무라 케타藤村 慶太1993.09.02182cm / 72kg
9파일:일본 국기.svgFW니와 시온丹羽詩溫1994.06.18178cm / 75kg
10파일:일본 국기.svgFW세누마 유지瀬沼優司1990.09.01185cm / 78kg
11파일:일본 국기.svgFW스기우라 쿄헤이杉浦恭平1989.01.11177cm / 70kg
13파일:일본 국기.svgMF오이시 류헤이大石竜平1997.01.21169cm / 65kg
14파일:일본 국기.svgMF카네코 마사히로金子昌広1991.02.02169cm / 60kg
15파일:일본 국기.svgDF와나타베 타이키渡邊泰基1999.04.22180cm / 74kg
16파일:일본 국기.svgMF모토즈카 토시야本塚聖也1997.05.20180cm / 73kg
17파일:일본 국기.svgFW카토 무츠키加藤陸次樹1997.08.06178cm / 69kg
18파일:일본 국기.svgMF쿠보타 료窪田稜2001.01.05171cm / 68kg
19파일:일본 국기.svgMF시마즈 라이세이島津頼盛1999.04.07173cm / 58kg
21파일:일본 국기.svgGK이시이 료石井稜1993.06.24183cm / 77kg
22파일:일본 국기.svgDF리키야스 쇼고力安祥伍1998.08.22174cm / 67kg
23파일:일본 국기.svgGK시라이 유토白井裕人1988.06.19184cm / 78kg
24파일:일본 국기.svgDF카타쿠라 세야片倉誠也1998.12.05171cm / 68kg
25파일:일본 국기.svgDF타카야스 타카유키高安孝幸2001.09.25176cm / 66kg
26파일:일본 국기.svgMF토지 유스케田路耀介2001.04.08180cm / 72kg
27파일:일본 국기.svgDF히로이 토모노부廣井 友信1985.01.11180cm / 78kg
29파일:브라질 국기.svgDF호돌포Rodolfo Tito de Moraes1997.03.05183cm / 69kg
30파일:일본 국기.svgFW오타니 하야토大谷駿斗1997.01.17173cm / 64kg
31파일:일본 국기.svgGK우에다 이츠키上田樹2001.06.28185cm / 73kg
33파일:일본 국기.svgFW스기우라 리키토杉浦力斗2002.10.22182cm / 70kg
38파일:일본 국기.svgDF이나바 가쿠稲葉楽2002.04.27187cm / 74kg
39파일:일본 국기.svgDF쇼지 호노야庄司朋乃也1997.10.08187cm / 78kg

구단 정보
회장: 요네자와 히로시 / 감독: 야나기시타 마사아키 / 구장: 이시카와현 서부 녹지공원 육상경기장
출처: 츠에겐 가나자와 / 최종 수정 : 2021년 1월 12일




6. 여담[편집]


  • 가나자와 인구가 46만 정도로 호쿠리쿠라는 광역권의 핵심도시치고는 많지 않고, 경기장도 시의 번화구역인 카나자와역 동남부가 아닌 서북부에 위치한 탓에 평균 관중 수는 하위권 수준이다.

  • 2016년에 클럽하우스를 개장했다. 최근에 지어진 클럽하우스답게 시설이 좋다. 시와 지역의 기업들, 스폰서, 그리고 시민들의 모금으로 지어져서 후원자들의 명찰이 달려있다고 한다. 클럽하우스 이미지

  • 2023년 완공을 목표로 축구전용구장이 건설 중이다. # 위치는 카나자와역 기준으로 대중교통으로든 걸어서든 2~30분 가량에 갈 수 있을 정도로 현 구장보다 훨씬 가까워진다. 다른 팀들이 말 그대로 '예정'만 하고 있는 반면 가나자와의 새 구장은 공사가 진행 중이다. 다만 코로나19로 잠시 중단되어 2024년으로 밀릴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수용 인원은 J1라이센스에 못 미치는 1만명대라고 한다. 추후 승격 가능성이 생기면 증축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는 하지만, 그냥 처음부터 1.5만명대로 굳이 짓지 않는걸 보면 팀 내부에서는 앞으로도 승격할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판단한 듯. 2024시즌부터 운영을 확정하였으며, 가나자와 본점을 시작으로 일본 전국에 매장을 둔 카레 전문점인 고고카레가 매년 3000만엔씩 5년 간의 구장명명권을 계약하여 고고카레 스타디움이 된다. 구장명명권은 2023년 8월에 획득했지만 이미 동년 1월에 본사를 도쿄에서 구장 인근으로 옮긴 것으로 보아 일찌감치부터 준비했던 것으로 보인다.

  • J리그에서는 왠지 팀 자체보다는 팀의 마스코트로 더 널리 알려진 구단이다. 겐조는 2020 J리그 마스코트 총선에선 26위를, 겐조이어는 2018 J리그 마스코트 총선 17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J리그 마스코트 총선은 매년 모든 J리그 마스코트가 전부 출마하는 것이 아니다보니 제프 유나이티드 서포터즈인 이누 유나이티드에서 당년도 총선 후보에서 빠지는 80여명의 마스코트를 모아 별도로 비공식 총선을 개최하는데, 여기서는 야사가라스가 2018~19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거기다가 2020년 비공식 총선 결선투표에도 야사가라스가 입성했지만 정작 우승은 같은 츠에겐의 굿즈 담당 여성이 차지했다(?). 2021년 이누 유나이티드 비공식 총선에서도 야사가라스가 2위, 굿즈 담당 여성이 4위를 차지하며 꾸준한 인기를 자랑했다.


7. 한국 선수[편집]


부산 아이파크에서 뛰었던 차영환이 2015년에 뛰었었고[3], 그 이전에는 정우재가 프로 데뷔를 이 팀에서 했다. 그리고 재일교포 안병준손대하도 이 팀에서 뛰었고, 2023년에는 대전 하나 시티즌 박준서가 임대되는 등 이들 외에도 여러 한국 선수들이 거쳐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7:44:07에 나무위키 츠에겐 가나자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독일어식으로 읽으면 '츠바이겐'에 가깝다. 본래 나무위키의 J리그 관련 문서들에서 '츠바이겐 가나자와'로 표기했지만, 팀 홈페이지나 J리그 공식사이트, 일본 위키 등에서 가타카나로 '츠에겐 가나자와'로 표기한다는 점을 존중하여 츠에겐으로 수정했다.[2] 가나자와와 자매결연을 맺은 프랑스 도시[3] 카마타마레 사누키와의 원정경기에서 인생골(?)을 넣기도 했다.